<head><meta name="robots" content="noindex"></head>
이상근 증후군(Piriformis Syndrome)은 엉덩이 깊숙이 있는 근육인 이상근(piriformis muscle)이 신경을 압박하여 통증을 비롯한 여러 증상이 나타나는 것을 말합니다. 이상근은 밴드처럼 얇고 편평한 근육으로 고관절을 안정시키고 허벅지를 돌리거나 바깥 방향으로 벌리는데 주로 사용됩니다. 아래 사진은 이상근과 좌골신경을 보여줍니다.
이상근이 긴장하거나 비대해지면 이 근육 아래로 지나가는 좌골신경(sciatic nerve)을 누르게 됩니다. 이로 인해 엉덩이 쪽 통증과 저림 증상 등이 나타나는데 이것을 이상근 증후군이라고 합니다. 이상근 증후군은 장시간 앉아있거나 운동을 심하게 하는 사람에게 나타날 위험이 높습니다.
이상근 증후군 증상과 원인, 진단 및 치료방법에 대해 바로 아래에서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이상근 증후군 증상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면 이상근 증후군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 좌골신경통: 엉덩이, 대퇴부, 다리까지 통증, 저림, 화끈거림, 감각이 둔해지는 증상이 나타납니다.
- 앉아 있으면 통증이 심해집니다. 자리에 편안하게 앉기 힘듭니다.
- 엉덩이에서 시작된 통증이 다리 아래로 전해집니다.
- 운동을 하거나 움직일수록 통증이 심해집니다.
- 앉았다 일어설 때 통증이 생깁니다.
- 다리나 발이 저립니다.
이상근 증후군 원인
이상근은 걷거나 방향을 틀 때, 또는 하체의 무게중심을 옮길 때 등 아주 많이 사용되는 근육입니다. 이상근 증후군을 일으키는 원인으로는 다음과 같은 요인들이 지목됩니다.
- 이상근이나 주변 조직이 자극을 받아 근육 경련이 일어남
- 부상이나 경련으로 인해 근육이 타이트해짐
- 부상이나 경련으로 이상근이 부었을 때
- 이상근 부근에서 출혈이 발생했을 때
- 무리한 하체운동
- 너무 오래 운동을 했을 때
- 오랜 시간 앉아있었을 때
- 아주 무거운 물건을 들었을 때
- 계단을 아주 오랫동안 올랐을 때
- 엉덩이를 갑자기 트는 동작을 했을 때
- 이상근 부상
이상근 증후군 진단
이상근 증후군 증상이 나타날 때 허리디스크로 잘못 알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상근 증후군일 경우 엉덩이 깊은 곳을 누르면 아주 심한 통증이 나타납니다. 또 등을 바닥에 대고 누운 상태에서 한쪽 다리를 들어 올려도 통증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이상근 증후군이 있는 사람은 통증을 줄이기 위해 다리가 바깥 방향으로 돌아가 있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상근 증후군 진단을 위해 상담 후 신체검사를 통해 어떤 동작을 할 때 통증이 나타나는지 확인합니다. 통증이 디스크 등 다른 원인에 의해 나타나는지 확인하기 위해 MRI나 CT 촬영을 할 수도 있습니다.
이상근 증후군 치료
이상근 증후군은 때때로 치료를 하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증상이 사라집니다. 충분히 휴식을 취하고 증상을 초래하는 동작을 피합니다. 구체적인 치료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얼음찜질과 온열찜질을 하면 도움이 될 수도 있습니다. 얼음을 수건에 싼 후 엉덩이 부위에 10~15분간 대고 있습니다. 그 후 핫팩으로 찜질합니다.
스트레칭도 이상근 증후군에 효과가 있습니다. 스트레칭 방법은 먼저 등을 바닥에 대고 무릎은 구부린 상태로 눕습니다. 왼쪽 발을 오른쪽 허벅지 위에 올립니다. 그리고 양손으로 오른쪽 허벅지를 잡고 천천히 당겨 올린 후 5초간 있습니다. 그리고 천천히 다리를 내린 후 이번에는 반대쪽을 스트레칭 합니다. 아래 사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도 증상이 완화되지 않을 경우 병원에서 다음과 같은 치료를 받습니다.
- 주사요법: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등 약물을 주사해 염증을 가라앉힙니다.
- 경피신경 전기자극(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or): 신경을 전기적으로 자극하여 통증을 줄이는 방법입니다.
- 도수치료: 물리치료사가 척추와 관절을 정열하고 인대, 근육을 손으로 자극하여 뭉친 근육과 신경을 이완합니다.
- 수술: 최후의 수단으로 다른 치료가 소용이 없고 통증이 심하게 지속될 경우 신경을 압박하는 이상근을 제거합니다. 이것은 거의 사용되지 않는 방법입니다.
이상근 증후군 예방
이상근은 너무 많이 사용해도 문제지만 너무 사용하지 않아도 문제가 생깁니다. 과도하지 않은 적절한 운동은 이상근 증후군 위험을 낮춥니다. 아래는 이상근 증후군을 예방하는 방법입니다.
- 운동 전 충분히 몸을 워밍업 합니다.
- 운동 강도는 천천히 높여가도록 합니다.
- 언덕을 뛰어오르거나 뛰어내려오지 않도록 합니다.
- 앉아서 작업을 할 때는 중간중간 자리에서 일어나서 걷습니다.
'Great Anatom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미색 비강진(Pityriasis Rosea) 증상 원인 홈케어 (0) | 2022.04.07 |
---|---|
콜레스테롤 낮추는 음식 vs 콜레스테롤 높이는 음식 (0) | 2021.03.03 |
심근경색 전조증상 알면 생사가 달라진다 (0) | 2021.03.02 |
소시오패스 뜻 및 소시오패스 대처법은? (0) | 2021.03.02 |
회피성 성격장애 증상과 치료 (0) | 2021.03.01 |
댓글